맨위로가기

청도 백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도 백씨는 고려 시대 인물 백계영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백계영은 고려 원종 때 청도 호장을 지냈으며, 박경순 일당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후손들이 청도를 관향으로 삼았다. 조선 시대에는 백이소가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활약했으며, 주요 인물로는 백남순, 백남주 등이 있다. 청도 백씨는 경주 건천읍 조전리에 집성촌을 이루었으며, 과거 급제자로는 백원항, 백이소 등이 있다. 2015년에는 약 1,479명이 청도 백씨 성을 가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도 백씨 - 백승탁
    대한민국의 교육자이자 교육 행정가인 백승탁은 충청남도 내 학교 교사, 예산고등학교 교장, 문교부 교육연구관, 충청남도 교육감 등을 역임하고 예덕학원 이사장과 여러 대학교 초빙교수를 지냈으며 예산군수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고 교육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국민훈장 모란장을 수훈했다.
  • 청도 백씨 - 백남순 (1929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 백남순은 김일성종합대학 졸업 후 조선로동당에서 활동하며 대남 협상 전문가이자 외무상으로 남북 관계 개선에 기여했다.
청도 백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관향경상북도 청도군
시조백계영(白桂英)
집성촌경상북도 건천읍 조전리
주요 인물백원항
백이소
백남주
백남순
년도2015년
인구1,479명
비고사우(祠宇) 광산정사(光山精舍)
나라한국

2. 역사

청도 백씨 시조는 고려 때 사람 백계영(白桂英)이다.[2] 백계영은 고려 원종 때 청도의 호장(戶長)을 지냈으며, 아우인 급제 백이장(白利章)과 함께 박경순(朴慶純) 일당의 난을 진압하고 벼슬에 올라, 후손들이 오산(鰲山, 지금의 청도)을 본관으로 삼아 살았다.[3] 청도 백씨는 백씨(白氏) 오산군파(鰲山君派)이다.

조선 초기, 삼남(三南) 지방의 백성들을 함경도와 평안도로 이주시키는 정책이 시행될 때 청도 백씨 일족도 포함되었으나, 당시 경상도 순찰사가 이들을 대신해 조정에 탄원했다는 사실[3]을 통해 조선 초·중엽까지 청도 백씨가 청도에 살았음을 알 수 있다.

조선 시대에 백구(白球)가 경주부 서면으로 이주하였고, 그의 증손인 급제 백이소(白以昭)는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문천회맹(蚊川會盟)을 맺고 항전하였으며, 정유재란 때 영천 창암(永川 蒼巖)에서 싸우다 전사하였다.[4] 사후 병조참의에 추증되었고 광산사(光山祠)에 배향되었다.

2. 1. 시조 및 초기 역사

백계영(白桂英)은 고려 때 사람으로, 청도 백씨의 시조이다.[2] 백계영은 고려 원종 때 청도의 호장(戶長)을 지냈으며, 아우인 급제 백이장(白利章)과 함께 박경순(朴慶純) 일당의 난을 진압하였다.[3] 이 공으로 벼슬에 올라 후손들이 오산(鰲山, 지금의 청도)을 본관으로 삼아 살았다.[3] 청도 백씨는 백씨(白氏) 오산군파(鰲山君派)이다.

조선 초기, 삼남(三南) 지방의 백성들을 함경도와 평안도로 이주시키는 정책이 시행될 때 청도 백씨 일족도 포함되었으나, 당시 경상도 순찰사가 이들을 대신해 조정에 탄원했다는 사실[3]을 통해 조선 초.중엽까지 청도 백씨가 청도에 살았음을 알 수 있다.

조선 시대에 백구(白球)가 경주부 서면으로 이주하였고, 그의 증손인 급제 백이소(白以昭)는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문천회맹(蚊川會盟)을 맺고 항전하였으며, 정유재란 때 영천 창암(永川 蒼巖)에서 싸우다 전사하였다.[4] 사후 병조참의에 추증되었고 광산사(光山祠)에 배향되었다.

2. 2. 조선 시대

조선 초기 삼남(三南) 지방의 백성들을 북쪽 변경인 함경도와 평안도로 이주시키는 정책(사민, 徙民)이 시행될 때, 청도 백씨 일족도 이주 대상에 포함되었다. 그러나 당시 경상도 순찰사가 조정에 청도 백씨를 대신하여 탄원한 사실[3]을 보면, 조선 초·중엽까지 청도 백씨가 청도 지역에 계속 거주하였음을 알 수 있다.

조선 시대에 백구(白球)가 경주부 서면으로 이주하였고, 그의 증손자인 백이소(白以昭)는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문천회맹(蚊川會盟)에 참여하여 항전하였다. 정유재란 때에는 영천 창암(永川 蒼巖)에서 전투 중 순절하였다.[4] 이후 병조참의에 추증되었고, 광산사(光山祠)에 배향되었다.

3. 본관 연혁

청도는 옛 이서국이었다. 297년 사로국에 멸망하여 이서군이 되었고, 솔이산성(率爾山城)·오도산성(烏刀山城)·가산성(茄山城) 3성을 통합하여 대성군(大城郡)으로 바뀌었다. 757년 군내 3성을 오악현(烏岳縣), 형산현(荊山縣), 소산현(蘇山縣) 3현으로 개명하였다.[5]

940년 3현을 통합, 밀성군 청도현(淸道縣)이 되었다. 1010년 영동도(嶺東道) 도주(道州), 1012년 경주부 도주로 되었다.

1018년 영동도 밀양군 청도현, 풍각현으로 나뉘었다. 1271년 청도군으로 승격되었다가 1343년 다시 청도현이 되었다. 1366년 밀양부 청도군이 되었다.

4. 주요 인물

5. 과거 급제자

다음은 청도 백씨의 과거 급제자 목록이다.


  • 백원항[1]: 고려 시대 문과 및 사마시 급제.
  • 고려 시대 무과 급제자: 백현손, 백이소, 백천, 백광민
  • 고려 시대 생원시 급제자: 백옥진, 백규보
  • 고려 시대 진사시 급제자: 백주석

5. 1. 고려 시대

백원항[1]은 고려 시대에 문과와 사마시에 급제했다.

고려 시대 무과 급제자로는 백현손, 백이소, 백천, 백광민이 있었다.

고려 시대 생원시 급제자로는 백옥진, 백규보가 있었으며, 진사시 급제자로는 백주석이 있었다.

5. 2. 조선 시대

백현손, 백이소, 백천, 백광민 등 4명이 무과에 급제하였다. 백옥진, 백규보 등 2명은 생원시에, 백주석은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6. 집성촌

백구가 경주부 서면으로 이주하여 후손들이 경북 경주시 건천읍 조전리 일대에 집성촌을 이루고 강당, 박실, 석현 등 지파를 형성하였다.[1] 백이소의 후손들이 훼철되었던 광산사를 광산정사로 복건하여 제향을 받들고 있다.[1]

7. 인구

연도가구 수인구 수
1985년90391명
2000년213702명
2015년?1,479명


8. 항렬표

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
청(淸)수(受)광(光)동(東)문(文)용(容)기(基)흠(欽)승(承)수(水)호(浩)


참조

[1] 서적 세종실록 150권, 지리지 경상도 경주부 청도군 조(條)
[2] 서적 백씨대동보 1982
[3] 서적 탁영문집(濯纓文集),「대인상순찰사서」(代人上巡察使書)
[4] 서적 동경잡기(東京雜記)
[5] 서적 세종실록 150권, 지리지 경상도 경주부 청도군 조(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